본문 바로가기

Python/Python 데이터 분석

개발환경 구축 - 2. VS Code 파이썬 개발환경 구축

시작하기

 

앞서서 아나콘다 설치와 개발환경 준비를 진행하였습니다.

 

저는 .Net으로 프로그래밍을 시작한 개발자라 그런지 마이크로소프트 社의 Visual Studio의 어두운 테마가 익숙합니다.

또한 짧지만 주피터 노트, 주피터 랩, 파이참(커뮤니티) 등을 사용해본 결과 확장성이나 인텔리센스 성능 등 VS Code가 나름 괜찮게 느껴졌습니다.

 

그래서 VS Code로 파이썬 개발환경을 구축하는 방법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아나콘다에서의 주피터 노트나 주피터 랩을 사용하실 분들은 생략하셔도 됩니다.

 

그럼 개발환경 구축을 진행해보죠.


설치하기

 

 

먼저 VS Code 공식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Download for Windows Stable Build를 눌러 인스톨러를 다운받습니다.

https://code.visualstudio.com/

 

Visual Studio Code - Code Editing. Redefined

Visual Studio Code is a code editor redefined and optimized for building and debugging modern web and cloud applications.  Visual Studio Code is free and available on your favorite platform - Linux, macOS, and Windows.

code.visualstudio.com

 

2020년 1월 30일 기준 1.41.1 버전이 Stable Build의 최신버전입니다.

설치를 진행합니다.

 

마찬가지로 기본 옵션 상태로 인스톨을 진행합니다.

다음(N)> 버튼을 클릭합니다.

 

필요한 경우 바탕화면 바로가기를 만드셔도 좋습니다.

 

설치 완료 후 VS Code를 실행합니다.


준비하기

 

VS Code가 구동된 후 먼저 개발 편의성 향성을 위해 확장(Extensions)을 설치합니다.

왼쪽의 네모 모양 버튼을 눌러 다음 확장을 검색하고 설치합니다.

 

 

다양한 확장들을 검색하고 설치할 수 있습니다.

저는 이 중에서 다음 확장을 추천드립니다.

필요에 의해서 더 많은 확장을 설치하셔도 좋습니다.

 

- Korean Language Pack : VS Code의 메뉴 등 항목을 한글로 출력합니다.

- Python : 파이썬 개발을 지원합니다.

- Anaconda Extension Pack : 아나콘다 환경 개발을 지원합니다.

- vscode-icons : VS Code 탐색기에서 파일 확장자에 따른 아이콘 모양을 지원합니다.

 

다음은 폰트 설정입니다.

코딩 시 본인에게 알맞은 폰트 설정은 필수입니다.

파일 - 기본설정 - 설정 항목으로 들어갑니다.

 

텍스트 편집기 - 글꼴을 눌러 Font Family에 원하는 폰트를 기존 폰트 앞에 추가합니다.

저는 Bitstream Vera Sans Mono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기본적인 VS Code 설정은 마쳤습니다.

이제 파이썬 개발환경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해 봅시다.

파일-폴더 열기 를 눌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는 폴더로 이동합니다.

 

탐색기 탭이 활성화 됩니다.

저는 TEST라는 반 폴더를 생성하였습니다.

 

비어있는 폴더에서 임시로 주피터 노트북 파일을 만들어 봅시다.

탐색기에서 우클릭하여 새파일 항목을 클릭합니다.

저는 파일 이름을 test.ipynb로 입력했습니다.

 

VS Code가 버벅이면서 *.ipynb 파일형식(주피터 노트북 형식)을 인식합니다.

(VS Code에서 *.ipynb 파일을 최초 인식 시 다소 로딩과정이 발생합니다.)

 

다음으로는 파이썬 인터프리터를 선택해줍니다.

앞서 만들어두었던 아나콘다 가상환경을 사용합니다.

Ctrl+Shift+P 를 눌러 명령 팔레트를 띄웁니다.

명령 팔레트는 보기-명령 팔레트 를 통해서도 접근할 수 있습니다.

 

팔레트에 Python:Select Interpreter 를 입력하여 파이썬 인터프리터를 선택합니다.

VS Code는 인텔리센스 기능이 좋아 몇글자 입력하면 추천 명령어가 완성됩니다.

이후 나오는 인터프리터 중 기존 만들어 둔 아나콘다 가상환경을 선택합니다.

제 경우는 da_venv:conda 환경입니다.

 

인터프리터를 선택하면 왼쪽 아래 선택된 인터프리터 정보가 나타납니다.

만약 추후 인터프리터를 변경하실 경우에도 위 과정을 통해 변경 가능합니다.

 

이제 정상적으로 빌드가 되는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화면의 노트북에 기본적인 파이썬 코드를 입력해보겠습니다.

코드는 Shift+Enter 를 통해서 실행할 수 있습니다.

다음 코드를 작성하고 실행합니다.

print("Hello World!")

 

*.ipynb 파일을 최초 구동 시, 주피터 서버와 파이썬 인터프리터를 가동하는데 다소 시간이 소요됩니다.

(해당 가동 시간은 최초 구동 시 1회만 발생합니다.)

해당 시간이 소요될지 여부는 오른쪽 위 Jupyter Server 상태와 Python 상태를 통해 알 수 있습니다.

주피터 서버와 파이썬 인터프리터가 시작되지 않음
주피터 서버 구동 완료, 파이썬 인터프리터 구동완료 (유휴상태)

 

파이썬 인터프리터와 주피터 서버가 구동된 후 다음과 같이 Hello World! 가 출력된다면 정상 구동 상태입니다.

 

이제 데이터 분석을 위한 모든 개발환경 구축은 완료되었습니다.

 

다음에는 본격적인 데이터 분석 예제 코드를 작성해 보겠습니다.